자체적으로 인터넷 사용자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 많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사용자의 인터넷 연결 속도, 액세스 네트워크의 신뢰성,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가용성 및 로드 특성이 포함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일부의 경우 사용자 홈 네트워크 구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개별적이고 독립된 방법(예: 액세스 속도, 서버 용량)으로는 실제 사용자 환경을 파악하지 못합니다. 모든 영향 요인을 똑같이 포함하는 종단간 애플리케이션 수준의 성능 측정이 실제 인터넷 사용자 환경을 측정하고 수량화하는 올바른 접근법입니다.
여기에 제시한 내용은 YouTube 동영상 기능과 관련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일관된 애플리케이션 수준의 성능 측정을 기준으로 합니다. 의미 있고 이해하기 쉬우며 실제 인터넷 환경을 밀접하게 반영하는 등급을 나타내는 데에 목적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YouTube 동영상 재생은 하나 이상의 요청(예: HTTP GET)을 통해 YouTube 서버(CDN)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동영상 바이트를 가져오는 YouTube 클라이언트(플레이어)로 구성됩니다. ISP 등급을 결정하는 첫 번째 단계는 이러한 동영상 바이트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는 일관된 속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달성한 애플리케이션 수준의 처리량(유효 처리량)을 측정하기 위해 각 요청별로 다음 항목이 기록됩니다.
이러한 측정을 기준으로 아래 수식을 사용해 특정 요청 'R'에 대한 유효 처리량이 산출됩니다. 측정된 각 요청은 유효 처리량 표본으로 간주됩니다.
등급은 측정 단계에서 기록된 관련 유효 처리량 표본을 집계하여 얻습니다. 이러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면 선택한 측정기준에 대해 세부사항의 다양한 수준에서 등급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시간 기준(예: 시, 일, 주, 월) 및 다양한 지리적 수준(예: 국가, 도, 대도시, 도시)에서 ISP 등급을 매길 수 있습니다.
특정 기간 'T'(예: 지난 30일간) 및 지리적 위치 'L'(예: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에 대한 ISP 'P'(예: Comcast)의 등급은 다음과 같이 산출됩니다.
GAT 버킷 | 유효 처리량 기준 | 추론 |
---|---|---|
HD(고화질) | > 2.5Mbps | 720p 해상도에서 평균 YouTube HD 동영상 재생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유효 처리량 |
SD(표준 화질) | 0.7~2.5Mbps | 360p 해상도에서 평균 YouTube SD 동영상 재생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유효 처리량 |
LD(저화질) | < 0.7Mbps | 360p 해상도에서 YouTube SD 동영상 재생을 유지하기에 너무 낮은 유효 처리량 |
3) 등급 기준 정의: ISP 등급 기준은 각 등급 수준에 대한 GAT 볼륨 요구사항의 최소 수준을 고려하여 정의됩니다. 이러한 측정항목은 ISP 네트워크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반영하기 위해 고안되었기 때문에 기준은 일반적인(평균) 성능이 아닌 일관된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수준에서 설정되어야 합니다. 이런 취지로 다양한 신뢰성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YouTube는 GAT-90(기준 초과 요청의 90%), GAT-95(기준 초과 요청의 95%), GAT-99(기준 초과 요청의 99%)와 같이 3가지 등급을 정의했습니다.
다음 표는 YouTube 평가 방법에서 최종 ISP 등급을 결정하는 데 사용하는 기준(GAT-90)에 대한 정의입니다. 현장에서 관찰된 실제 성능을 충분히 고려하여 90% 기준이 선택되었습니다. 이 기준은 시간이 지나면서 발전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밀접하게 추적합니다.
등급 | 기준(GAT-90) | 추론 |
---|---|---|
HD(고화질) |
90+% 표본은 HD로 표기 |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는 YouTube HD(720p) 성능을 보여주는 네트워크 |
SD(표준 화질) |
90+% 표본은 최소 SD로 표기 |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는 YouTube SD(360p) 성능을 보여주는 네트워크 |
LD(저화질) | 해당 사항 없음 | 신뢰할 수 없는 YouTube 성능을 보여주는 네트워크 |
등급은 사용자가 아닌 네트워크에 중점을 둡니다. 모든 유효 처리량 표본은 완전히 익명처리되며 어떠한 사용자 정보(예: 브라우저 쿠키, IP 주소)도 저장되거나 등급 알고리즘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또한 선택한 지리적 수준과 시간 간격에 대해 집계한 표본 볼륨이 특정 기준 이하일 경우 알고리즘은 등급을 매기기 위한 최소 크기 요건을 충족하는 보다 큰 단위의 측정기준을 사용하도록, 다시 말해 더 광범위한 지리적 수준 및 시간 간격을 기준으로 집계하도록 변경됩니다.